7576번: 토마토
첫 줄에는 상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정수 M,N이 주어진다. M은 상자의 가로 칸의 수, N은 상자의 세로 칸의 수를 나타낸다. 단, 2 ≤ M,N ≤ 1,000 이다. 둘째 줄부터는 하나의 상자에 저장된 토마토
www.acmicpc.net
골드 5 문제인데, 실버 수준의 bfs와 다르게 네 방향 탐색을 여러 곳에서 동시에 진행하며 넓혀가는 방식이다.
재밌다
더 발전된 문제로는 7569 토마토 가 있다.
문제
철수의 토마토 농장에서는 토마토를 보관하는 큰 창고를 가지고 있다. 토마토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격자 모양 상자의 칸에 하나씩 넣어서 창고에 보관한다.
창고에 보관되는 토마토들 중에는 잘 익은 것도 있지만, 아직 익지 않은 토마토들도 있을 수 있다. 보관 후 하루가 지나면, 익은 토마토들의 인접한 곳에 있는 익지 않은 토마토들은 익은 토마토의 영향을 받아 익게 된다. 하나의 토마토의 인접한 곳은 왼쪽, 오른쪽, 앞, 뒤 네 방향에 있는 토마토를 의미한다. 대각선 방향에 있는 토마토들에게는 영향을 주지 못하며, 토마토가 혼자 저절로 익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한다. 철수는 창고에 보관된 토마토들이 며칠이 지나면 다 익게 되는지, 그 최소 일수를 알고 싶어 한다.
토마토를 창고에 보관하는 격자모양의 상자들의 크기와 익은 토마토들과 익지 않은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며칠이 지나면 토마토들이 모두 익는지, 그 최소 일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단, 상자의 일부 칸에는 토마토가 들어있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
첫 줄에는 상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정수 M,N이 주어진다. M은 상자의 가로 칸의 수, N은 상자의 세로 칸의 수를 나타낸다. 단, 2 ≤ M,N ≤ 1,000 이다. 둘째 줄부터는 하나의 상자에 저장된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진다. 즉,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상자에 담긴 토마토의 정보가 주어진다. 하나의 줄에는 상자 가로줄에 들어있는 토마토의 상태가 M개의 정수로 주어진다. 정수 1은 익은 토마토, 정수 0은 익지 않은 토마토, 정수 -1은 토마토가 들어있지 않은 칸을 나타낸다.
토마토가 하나 이상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여러분은 토마토가 모두 익을 때까지의 최소 날짜를 출력해야 한다. 만약, 저장될 때부터 모든 토마토가 익어있는 상태이면 0을 출력해야 하고, 토마토가 모두 익지는 못하는 상황이면 -1을 출력해야 한다.
예제 입력
풀이 💻
문제 분석한 걸 요약해보면
- 토마토는 혼자 익지 못한다고 하므로, 고립된 채 0인 토마토는 익지 못한다.
- 출력: 다 못익으면 -1을 반환하고, 다 익을 수 있다면 최소 날짜를 반환한다. (처음부터 익어있으면 0일이 걸린 것이므로 day=0 초기값 그대로 반환하면 된다)
계획
- 토마토 다 못익었는지 판별은 (전체 토마토 개수 - 익은 토마토 개수)로 하자.
for문으로 box를 만드는 김에 토마토 개수 세자. - 토마토의 길찾기 문제가 아니라 여러개의 토마토가 동시에 네 방향을 탐색해야 하므로, 토마토 뭉텅이를 담아놓고 각 토마토들을 순회하며 각각 네 방향의 토마토들을 익게 만든게 한 사이클이다. 한 사이클 끝나면 day 증가
- 네 방향을 탐색하면서 1로 바꿔서 익게 만들고, 다음에 순회할 토마토 뭉텅이 배열에 담아놓는다.
- 다음 토마토 배열의 길이가 0이라면 더이상 익게 만들 토마토가 없으므로 반복문 종료
- 최종적으로 안익은 토마토가 남았는지 total, ripe 토마토 개수를 빼서 판별하고, 남았다면 -1, 아니라면 day를 반환한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input.txt').toString().trim().split('\n');
const [M, N] = input[0].split(' ').map(Number);
// 상하좌우
const dx = [0, 0, -1, 1];
const dy = [1, -1, 0, 0];
function solution() {
let totalCount = M * N;
let ripeCount = 0;
let prevTomatoes = [];
let day = 0;
const box = input.splice(1).map((line, y) =>
line
.trim()
.split(' ')
.map((el, x) => {
let tomato = Number(el);
if (tomato === -1) totalCount--;
if (tomato === 1) {
ripeCount++;
prevTomatoes.push([x, y]);
}
return tomato;
})
);
while (true) {
const prev = prevTomatoes.slice();
prevTomatoes = [];
prev.forEach((dxy) => {
const [x, y] = dxy;
for (let i = 0; i < 4; i++) {
const nx = x + dx[i];
const ny = y + dy[i];
if (nx >= 0 && nx < M && ny >= 0 && ny < N && box[ny][nx] === 0) {
box[ny][nx] = 1;
ripeCount++;
prevTomatoes.push([nx, ny]);
}
}
});
if (prevTomatoes.length === 0) break;
day++;
}
return totalCount - ripeCount > 0 ? -1 : day;
}
console.log(solution());
'알고리즘 이론 & 풀이 > 백준(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468번 - 안전 영역 (2) | 2023.11.09 |
---|---|
[백준] 1012번 - 유기농 배추 (nodejs) (0) | 2023.11.02 |
[백준] 1026번 - 보물 (nodejs) (1) | 2023.10.28 |
[백준] 2178번 - 미로 탐색 (0) | 2023.08.17 |
[백준] 1260번 - DFS와 BFS (js) (0) | 2023.08.17 |